2025 전기 안전교육 답
문제1 다음 중 반단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6.0% 정답률)
정답 반단선은 완전히 단선되지 않을 정도로 소선의 일부가 연결된 상태를 말한다.
해설 반단선은 전선이 절연피복 내부에서 단선되어 불시로 접속되는 상태, 또는 완전히 단선되지 않을 정도로 소선의 일부가 끊어져 있는 상태이다. 전선이 절연피복 내부에서 단선되어 불시로 접속되는 상태, 또는 완전히 단선되지 않을 정도 로 소선의 일부가 끊어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문제2 다음 중 전기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70.0% 정답률)
정답 주방, 연구실, 관리실 등의 장소별 전기화재
해설 발화경과별, 발화설비 및 발화기인물별, 상태별 전기화재를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문제3 다음 중 3상 4선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4.0% 정답률)
정답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기설비는 콘센트의 Hot line(핫 라인), 중성선, 접지에 접속되도록 2가닥의 도체로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
해설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기설비는 콘센트의 Hot line(핫 라인), 중성선, 접지에 접속되도록 2가닥의 도체로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문제4 전기는 어떤 기준에 따라 흐르는 전류가 달라지게 되는데, 그 기준으로 볼 수 없는 것은? (57.0% 정답률)
정답 도선의 전류
해설 전기는 도선의 굵기, 도선의 길이, 도선의 재질에 따라 흐르는 전류가 달라진다.
문제5 다음 중 누전으로 인한 전기화재 예방을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9.0% 정답률)
정답 전기설비 시공은 담당자가 직접 시공
해설 전기설비 시공은 필히 유자격자가 기술기준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문제6 전기기기 및 장치의 전기화재 예방을 위한 대책으로 볼수 없는 것은? (37.0% 정답률)
정답 배선, 코드 용량은 정확한 용량을 체크하여 사용한다.
해설 배선, 코드의 용량은 용량이상의 여유 용량을 확보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문제7 다음 중 전선의 열화진행 단계에 따른 외형 변화의 설명이 잘못된 것은? (76.0% 정답률)
정답 열화 4단계: 전선 피복이 외부로 도출된다.
해설 열화 4단계는 전선피복이 심하게 용융되고 탄화된다.
문제8 다음 중 과부하로 인한 화재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73.0% 정답률)
정답 덮개 혹은 단열재와 멀리 떨어진 곳에 전선이 있을 때
해설 덮개 혹은 단열재 사이에 전선이 있는 경우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문제9 다음 중 전동기 사용 시 발생하는 과열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83.0% 정답률)
정답 베어링의 급유 충분으로 인한 마찰
해설 전동기 사용시 베어링의 급유가 불충분한 경우 마찰로 인해 과열의 원인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문제10 다음 중 감전사고로 인한 재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0.0% 정답률)
정답 감전사고는 발생률은 낮은반면 사망률은 높은 편이다.
해설 감전사고로 인한 재해는 다른 재해에 비해 발생률은 낮으나 일단 재해가 발생하면 치명적인 경우가 많으며, 또한 다행히 생명을 건졌다 하더라도 평생 동안 장애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