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돈(布頓, 1290-1364)
포돈(布頓)이라는 단어의 유래를 알고 싶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나오는 단어가 거의 없었다. 그래서 중국의 바이두 백과사전에서 있는 내용을 구글 번역기, 파파고와 네이버 한자사전을 이용해 번역해보았다. 원문의 한자는 모두 간체를 정자로 바꾸었다.
출처: baike.baidu.com/item/%E5%B8%83%E9%A1%BF
布顿_百度百科
布顿 编辑 锁定 讨论 上传视频 布顿 元时西藏喇嘛。后藏人。本名仁钦竹,元人译为卜思端,一作布思端。 中文名 布顿 国 籍 中国 民 族 汉族 出生日期 1290 逝世日期 1364 性 别 ��
baike.baidu.com
포돈(布頓)
원나라시대의 티베트 라마. 후장 사람. 본명은 인흠죽(仁欽竹)이고 원나라 사람들은 복사단(卜思端)으로 번역했고, 다른 하나는 포사단(布思端)이다. 샤루사(夏魯寺, 하로사)의 켄보(堪布, 감포: 경전에 깊이 통달하여 계율을 주관하는 라마승, 라마 사원의 최고 주지). 제자 여러 명이 스스로 하로파(夏魯派)로 불리는 한 파가 되었다. 채공당사(蔡貢塘寺) 《간주르(甘珠爾, 감주이)》의 검정 및 편집에도 참여했다. 또 나탕사(納塘寺, 납당사)가 편집한 《단주르(丹珠爾, 단주이)》의 원고를 하로사로 옮겨서 분류는 다시 검열되고, 보충 자료는 삭제되고, 정본으로 삼았다. 후대의 《단주르(丹珠爾, 단주이)》의 각본은 그 원고를 기반으로 하거나 목록에 따라 보충되었다. 저서로는 《단주르 목록(丹珠爾目錄, 단주이목록)》, 《선서교법원류(善逝敎法源流)》(《포돈불교사(布頓佛敎史)》라고도 함) 등이 있다.
아무래도 티베트의 유명한 고승인 모양이다. 관련 단어를 네이버에 검색하니 티베트 관련 글이나 자료에서 많이 언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