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자생하는 개보리속(Elymus) 식물들
개보리속(Elymus)는 밀족에서 가장 규모가 큰 속이다. 아직 정확한 분류가 안 되어 있어서 그런 것일 수도 있지만, 세계적으로 약 150여종을 포함하고 있다. 깃대종(Type species)는 개보리(Elymus sibiricus)이다. 대부분 4배체나 6배체로 존재한다. 유전체(Genome)는 St와 H, Y, W 중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개보리속의 식물들은 대부분 잡초나 목초로 인류의 식량작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개보리속이 (나를 포함한 관심 있는 학자들에게) 의미를 갖는 이유 중에 하나는 밀과 보리의 공통조상으로 취급받기 때문이다.
출처: Molnár-Láng, M., Ceoloni, C., & Doležel, J. (2015). Alien Introgression in Wheat.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위 그림에 나온 밀족(Triticeae)의 진화과정에서 보면 현재 개보리속에서부터 밀아족과 보리아족으로 나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밀과 보리 양쪽에 유전자들 제공해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위 그림에서 보면, 점선을 기준으로 위쪽은 지중해지방을 원산으로 하고 아래쪽은 온대지방을 원산으로 한다. 국내에서 밀과 보리가 재배가 가능하지만, 국내에는 야생밀과 야생보리가 없다. 특히, 밀쪽을 보면 보통밀(Triticum aestivum)의 가까운 근연종들인 Triticum monococcum이나 Triticum urartu 더 나아가 Aegilops speltoides와 Aegilops tauschii 등은 국내에서 재배조차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들의 먼 친척인 개보리속 식물들의 일부는 국내에도 야생에서 잡초로써 자생하고 있다.
오늘은 개보리속 식물들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다.
1. 개보리 (Elymus sibiricus)
개보리속의 깃대종이며, 4배체 다년생식물이다. 유전체는 St, H로 구성된다. 즉, 2n=4x=28의 형태인 이질배수체로 유전체는 다르지만 듀럼밀과 염색체 수가 같다. 연구용으로 분양받아서 기르는 것외에는 아직 야생에서 못 봤다. 봤는데, 구별을 못 한 것일 수도 있다. 주로 내륙에 자생한다고 한다. 유라시아 전역에서 잘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수기는 7월이고 성숙기는 8월이라고 한다.
2. 갯보리 (Elymus dahuricus)
6배체 다년생식물이다. 유전체는 St, H, Y로 구성된다. 즉, 2n=6x=42의 형태인 이질배수체로 유전체는 다르지만 보통밀과 염색체 수가 같다. 이 역시 연구용으로 분양받아서 기르는 것외에는 아직 야생에서 못 봤다. 주로 해안가에 자생한다고 하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염해저항성이 뛰어난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에 분포한다. 출수기는 7월이고 성숙기는 8월이라고 한다.
3. 개밀 (Elymus tsukushiensis)
6배체 다년생식물이다. 갯보리와 마찬가지로 유전체는 St, H, Y로 구성된다. 즉, 2n=6x=42의 형태인 이질배수체로 유전체는 다르지만 보통밀과 염색체 수가 같다. 연구용으로 분양받은 것외에도 농장과 길거리 등에서 자주 보인다. 주로 들판이나 길거리에 자주 보인다. 일반 도감들을 보면 대부분 Agropyron tsukushiense로 분류하여 Agropyron을 개밀속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국제적으로 미농무부(USDA)나 The Plant List같은 곳에서는 Elymus tsukushiensis를 정명으로 보고 Agropyron tsukushiense를 이명으로 간주하고 있다. 유전체 정보가 맞다면, Agropyron속은 P 유전체를 가지므로, Elymus속으로 분류되는 것이 맞다.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일부에서만 발견된다고 한다. 출수기는 6월이고 성숙기는 7월이다고 한다.
4. 그외
갯그령(Leymus mollis)를 과거 Elymus속으로 분류하였으나, 유전체 조성상 현재는 Leymus속으로 분류하고 있다. 하지만 오래된 도감들에서는 아직도 Elymus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고려개보리(Elymus coreanus) 등 몇몇 국내 고유종이 있다고도 하지만 아직 연구가 많이 안되어 있어 다른 개보리, 갯보리, 개밀등의 아종들일 가능성도 있다.
출처: http://ongchip.egloos.com/6122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