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화학 안전교육 답

2025. 2. 25. 10:03과학/안전교육

728x90
반응형

문제1 다음 중 화학물질에 의한 인체 노출 및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바람직한 대책으로 옳은 것은? (56.0 % 정답률)
정답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해설 화학물질의 증기, 흄 등을 막기 위해서는 방독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하며, 화학물질은 사용 전 유해성 및 위험성을 확인 후 사용해야 한다.

문제2 불산이 피부에 접촉되었을 때, 대응방빕으로 옳은 것은? (65.0 % 정답률)
정답 옷, 반지, 시계 등이 접촉되었다면 즉시 제거한다.
해설 불산이 피부에 접촉되었을 때에는 흐르는 물에 15분 이상 씻어낸 후 불산중화연고를 사용해야 한다.

문제3 부틸고무는 휘발성이 큰 에스터류와 케톤류에 가장 적합하고 가솔린, 할로젠화 탄화수소류에 취약한 특성이 있다.
정답 O
해설 부틸고무는 휘발성이 큰 에스터류와 케톤류에 가장 적합하고 가솔린, 할로젠화 탄화수소류에 쥐약한 특성이 있다.

문제4 다음 중 화학물질과 관련된 법령으로 볼 수 없는 것은? (82.0 % 정답률)
정답 원자력안전법
해설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과 관련된 법령에는 화학물질관리법, 위험물안전관리법,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 폐기물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등이 있다.

문제5 다음 중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사고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원인은 무엇인가? (78.0 % 정답률)
정답 인적 오류
해설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인적오류에 따른 사고 발생율이 83.5%에 이른다.

문제6 신호어는 유해성의 심각성을 상대적 수준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용자에게 잠재적 유해성에 대해 경고하기 위한 단어를 의미한다. (94.0% 정답률)
정답 O
해설 신호어는 유해성의 심각성을 상대적 수준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용자에게 잠재적 유해성에 대해 경고하기 위한 단어를 의미한다.

문제7 화학물질 누출 시 대응 방법 등은 연구실에 비치하여 숙지하여야 한다. 다음 중 대응 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79.0% 정답률)
정답 화학물질 접촉 방법
해설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누출 시 대응, 화재 시 대응 등의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연구실에 비치하고 숙지해야 한다.

문제8 GHS/MSD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4.0% 정답률)
정답 한글 기재가 원칙이며, 화학 물질명 등의 고유명사도 영문표기가 불가능하다.
해설 한글로 기재하는 것이 원칙이나, 화학 물질명, 외국 기관명 등의 고유명사는 영문표기가 가능하다.

문제9 화학물질에서 생성되는 가스 및 증기를 없애주는 후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1.0% 정답률)
정답 화학물질을 다루는 실험 흄후드는 내에서 수행해야 한다.
해설 화학물질을 후드에서 취급 시에는 샤시를 최대한 닫아서 사용해야 하며, 후드 내에 머리를 넣는 행위는 가급적 피해야 한다.

문제10 다음 중 유해화학물질 관리기준 중 보관시설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65.0% 정답률)
정답 보관시설 주위 5m 이내에는 화기 또는 인화성 물질이나 발화성 물질을 두어서는 안된다.
해설 보관시설 주위 2m 이내에는 화기 또는 인화성 물질이나 발화성 물질을 두어서는 안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