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식물(21)
-
멀티오믹스와 디지털 육종
Ⅰ. 멀티오믹스와 디지털 육종 개념멀티오믹스(Multi-omics)와 디지털 육종(Digital breeding)은 최신 생명공학과 농업 기술의 융합을 통해 작물 육종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중요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이 두 기술은 상호 보완적인 방식으로 작물 품종을 개발하는 데 기여합니다. 1. 멀티오믹스(Multi-omics)멀티오믹스는 유전체(Genomics), 전사체(Transcriptomics), 단백질체(Proteomics), 대사체(Metabolomics) 등 여러 '오믹스' 데이터를 통합하여 생명체의 유전적, 생화학적 메커니즘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작물의 유전적 특징뿐만 아니라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성장 패턴, 질병 저항성 등의 다양한 특성을 심도 있게 분..
2024.10.24 -
최근 연구되고 있는 벼과 모델 식물 숲개밀과 강아지풀
모델 식물 종의 특징1. 식물체 크기가 작음2. 쉽게 자람3. 생산력이 높음4. 세대 기간이 짧음5. 유전체 크기가 작고 유전자 조작(교배, 돌연변이, 형질전환 등)이 편함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는 1980년대부터 모델 식물로 이용된 대표적인 종이다. 식물 크기는 20~25cm로 작고, 생육 기간은 약 6주의 짧은 생활사를 가진다. 분류학적으로 배추과(Family Brassicaceae)에 속하는 2년생 쌍떡잎식물이다. 유전체 크기는 약 135Mbp 이하로 작다. 처음으로 진행된 달 토양에서 식물 발아 실험도 애기장대가 이용되었다 (Paul et al. 2022). 하지만 애기장대는 작물 생산에 관련되는 특정한 과정들이 존재하지 않거나 유전자와 관련된 네트워크가 상당히 다른 때(..
2024.07.08 -
Brachypodium distachyon의 우리나라 이름
2010년 이후로 단자엽식물(특히 벼과)에서 모델 식물로 널리 연구에 이용되고 있는 Brachypodium distachyon. 자세한 건 다음을 참고하면 좋다. https://ongchip.tistory.com/5 단자엽식물의 모델식물 "Brachypodium distachyon"식물을 연구함에 있어서 생장주기가 길면 여러 모로 연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Genome의 크기가 크면 유전자 연구를 하기도 힘들다.현재 애기장대(Arabidopsis)는 모델식물로 많이 이용되ongchip.tistory.com위의 글에도 언급되었지만, B. distachyon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이 아니라서 우리나라 이름(국명)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국내 연구원들이 모델 식물로 흔히 사용되는 애기장대(A..
2024.05.21 -
수확 후 거의 2년 만에 찾은 포돈보리풀(Hordeum bogdanii)
2023년 2월 13일 월요일. 작년에 USDA에서 분양받은 종자를 찾다가 2021년 3월 15일에 수확한 포돈보리풀(Hordeum bogdanii)의 종자봉투를 찾았다. 한창 대학원 졸업 준비할 때 수확한 것으로 학교에서 마지막으로 키운 것이었다. 대학원에서 연구하면서 키웠던 다른 식물들의 종자는 없는 것으로 보아, 졸업하면서 다 버렸던 것 같다. 다시 연구할 일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괜히 버린 것 같다. 버리지 말고 어디에 잘 보관했었어야 했는데... 상온에서 거의 2년이 된 종자인데, 과연 잘 발아할 수 있을까? 원래 중국, 몽골 등에서 자생하는 식물인데, 과연 우리나라 기후환경에서도 잘 자랄 수 있을까? http://ongchip.egloos.com/6346637 해외 보리..
2023.02.14 -
국산목재와 수입목재 비교
2022년 9월 26일 산림조합중앙회 동부목재유통센터에 방문했을 때 받은 책자에 나와 있는 자료이다. 나무마다 용도가 다 다르겠지만, 편백과 낙엽송이 내구성이 강한 수종인 모양이다. 8월 말에 제주도 한남 시험림에 있는 삼나무 숲에 갔을 때, 숲해설사 아저씨가 임진왜란 때 일본군 배는 삼나무로 만들어서 약하고, 조선군 배는 소나무로 만들어서 단단하여 이순신 장군이 해전에서 승리를 거두었다고 했는데, 위 자료만 봤을 때는 잘 모르겠다.
2022.10.03 -
식물 유전체와 전사체 자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들
식물(특히 임목과 같은 나무) 유전체와 전사체 자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들이다. 일반 농작물과 달리 임목의 경우 연구가 더디기 때문에 아직 축적된 정보의 양이 적다. 시간이 흐르면서 데이터베이스의 숫자도 더 늘어나고,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쌓이는 정보량도 많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1. Plaza http://bioinformatics.psb.ugent.be/plaza/ Home The new default instance to focus on eukaryotic micro-organisms. A wide selection of species was selected, from multiple branches of the tree of life including green algae, brown algae, ..
2022.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