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4. 17:28ㆍ과학/안전교육
문제1 IBC 심의 분류로 틀린 것은? (63.0% 정답률)
정답 국가신고
해설 먼제, 기관신고, 기관승인, 국가승인으로 구분
문제2 위해성 평가 시기로 적절한 것은? (94.0% 정답률)
정답 실험 계획 절차 개선이 필요한 경우
해설 위해성 평가 시기는 다음과 같다. - 실험을 계획하는 경우 - 새로운 병원체, 시약 및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 - 새로운 연구자가 근무하는 경우 - 실험과정 중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 - 사고, 사건 등이 발생한 경우
문제3 기관생물안전위원회(IBC)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6.0% 정답률)
정답 IBC 위원 중 외부위원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해설 2등급 이상의 LMO 연구시설을 보유한 기관에서는 IBC를 필수로 구성해야 하며, IBC는 위원장 1인, 생물안전관리책임자 1인, 외부위원 1인 이상을 포함하여 총 5인 이상으로 구성해야 한다.
문제4 위해성 평가 시 고려해야 할 대상이 아닌 것은? (100.0% 정답률)
정답 기관장의 연구 경력
해설 기관장의 연구 경력은 위해성 평가 시 고려 대상이 아니다.
문제5 기관생물안전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0.0% 정답률)
정답 기관생물안전위원회는 연구심의만 진행하면 된다.
해설 기관생물안전위원회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1) 유전자재조합실험의 위해성평가 심사 및 승인에 관한 사항 2) 생물안전 교육·훈련 및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3) 생물안전관리규정의 제·개정에 관한 사항 4) 기타 기관 내 생물안전 확보에 관한 사항
문제6 기관생물안전위원회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100.0% 정답률)
정답 연구활동종사자 인사평가·관리
해설 기관생물안전위원회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1) 유전자재조합실험의 위해성평가 심사 및 승인에 관한 사항 2) 생물안전 교육·훈련 및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3) 생물안전관리규정의 제·개정에 관한 사항 4) 기타 기관 내 생물안전 확보에 관한 사항
문제7 위해성 평가의 요소 중 해당 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100.0% 정답률)
정답 논문 게재 여부
해설 위해성 평가 시에는 숙주 및 공여체의 위험군, 배양 규모 및 농도, 유전자변형생물체의 효과적인 처리 계획 등을 고려해야 한다.
문제8 기관생물안전위원회는 총 5인 이상으로 구성해야 한다. (90.0% 정답률)
정답 O
해설 기관생물안전위원회는 위원장 1인, 생물안전관리책임자 1인, 외부위원 1인을 포함한 총 5인 이상으로 구성해야 한다.
문제9 기관생물안전위원회는 2등급 이상의 LMO 연구시설을 보유한 모든 기관에서 필수로 구성하여 운영해야 한다. (92.0% 정답률)
정답 O
해설 기관생물안전위원회는 2등급 이상의 LMO 연구시설을 보유한 기관에서 필수로 구성하여 운영해야 한다.
문제10 IBC 심의종류와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잘못된 것은? (31.0% 정답률)
정답 면제실험 - 연구계획서
해설 면제실험은 별도의 제출 서류나 IBC 심의가 필요없음
'과학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2기 안전보건 기본교육(공통Ⅱ) 답 (0) | 2025.03.11 |
---|---|
2025년 2기 안전보건 기본교육(공통Ⅰ) 답 (2) | 2025.03.11 |
2025 LMO 수입대행기관 교육 안전교육 답 (2) | 2025.03.04 |
2025 LMO 연구활동종사자 보수교육 안전교육 답 (0) | 2025.03.04 |
2025 LMO 연구활동종사자 신규교육 안전교육 답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