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밀(2)
-
Brachypodium distachyon의 우리나라 이름
2010년 이후로 단자엽식물(특히 벼과)에서 모델 식물로 널리 연구에 이용되고 있는 Brachypodium distachyon. 자세한 건 다음을 참고하면 좋다. https://ongchip.tistory.com/5 단자엽식물의 모델식물 "Brachypodium distachyon"식물을 연구함에 있어서 생장주기가 길면 여러 모로 연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Genome의 크기가 크면 유전자 연구를 하기도 힘들다.현재 애기장대(Arabidopsis)는 모델식물로 많이 이용되ongchip.tistory.com위의 글에도 언급되었지만, B. distachyon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이 아니라서 우리나라 이름(국명)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국내 연구원들이 모델 식물로 흔히 사용되는 애기장대(A..
2024.05.21 -
국내에 자생하는 개보리속(Elymus) 식물들
개보리속(Elymus)는 밀족에서 가장 규모가 큰 속이다. 아직 정확한 분류가 안 되어 있어서 그런 것일 수도 있지만, 세계적으로 약 150여종을 포함하고 있다. 깃대종(Type species)는 개보리(Elymus sibiricus)이다. 대부분 4배체나 6배체로 존재한다. 유전체(Genome)는 St와 H, Y, W 중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개보리속의 식물들은 대부분 잡초나 목초로 인류의 식량작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개보리속이 (나를 포함한 관심 있는 학자들에게) 의미를 갖는 이유 중에 하나는 밀과 보리의 공통조상으로 취급받기 때문이다. 출처: Molnár-Láng, M., Ceoloni, C., & Doležel, J. (2015). Alien Introgression in Wheat...
2018.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