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4)
-
최근 연구되고 있는 벼과 모델 식물 숲개밀과 강아지풀
모델 식물 종의 특징1. 식물체 크기가 작음2. 쉽게 자람3. 생산력이 높음4. 세대 기간이 짧음5. 유전체 크기가 작고 유전자 조작(교배, 돌연변이, 형질전환 등)이 편함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는 1980년대부터 모델 식물로 이용된 대표적인 종이다. 식물 크기는 20~25cm로 작고, 생육 기간은 약 6주의 짧은 생활사를 가진다. 분류학적으로 배추과(Family Brassicaceae)에 속하는 2년생 쌍떡잎식물이다. 유전체 크기는 약 135Mbp 이하로 작다. 처음으로 진행된 달 토양에서 식물 발아 실험도 애기장대가 이용되었다 (Paul et al. 2022). 하지만 애기장대는 작물 생산에 관련되는 특정한 과정들이 존재하지 않거나 유전자와 관련된 네트워크가 상당히 다른 때(..
2024.07.08 -
Brachypodium distachyon의 우리나라 이름
2010년 이후로 단자엽식물(특히 벼과)에서 모델 식물로 널리 연구에 이용되고 있는 Brachypodium distachyon. 자세한 건 다음을 참고하면 좋다. https://ongchip.tistory.com/5 단자엽식물의 모델식물 "Brachypodium distachyon"식물을 연구함에 있어서 생장주기가 길면 여러 모로 연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Genome의 크기가 크면 유전자 연구를 하기도 힘들다.현재 애기장대(Arabidopsis)는 모델식물로 많이 이용되ongchip.tistory.com위의 글에도 언급되었지만, B. distachyon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이 아니라서 우리나라 이름(국명)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국내 연구원들이 모델 식물로 흔히 사용되는 애기장대(A..
2024.05.21 -
식물 기준 생물 분류 단위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10여년 전에 내가 고등학교에서 배울 땐, 생물 분류를 생물2에서 처음 다루었다. 그 때는 "종-속-과-목-강-문-계"로 외웠었다. 앞으로 갈 수록 작은 분류단위이고, 뒤로 갈 수록 큰 단위이다. 하지만 대학에 들어오고, 일반생물학을 배우면서 계(界, Kingdom)보다 상위에 "역(域, Domain)"이 존재한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그리고 몇년 전, 대학원에 들어와서 공부하면서, 과-속 사이에 "족(族, Tribe)"가 존재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며칠 전에 보리에 대해 알아보다가 속-종 사이에 Section과 Series라는 단위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하나도 아니고 둘이라니... 사실, 속은 정말 가까운 종들의 그룹으로 생각했는데, 그 녀석들을 더 쪼갤 수 있다는 ..
2018.11.29 -
밀과 보리를 포함하는 밀족(Triticeae)
벼과(Poaceae) 또는 화본과(Gramineae)는 분류학적으로 외떡잎식물강 벼목에 속하는 과(科, Family)로써, 고등식물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과 중 하나이다. 벼, 옥수수, 밀, 보리, 호밀, 기장, 조, 수수, 잔디 등이 모두 여기에 속한다. 벼과의 계통분류도 (출처: 위키피디아) 벼과는 12개의 아과(亞科, Subfamily)로 이루어지며, 아노모클로아아과, 파루스아과, 푸엘리아아과 등의 3개의 아과가 먼저 나뉘며, BOP분지군[대나무아과(Bambusoideae), 벼아과(Oryzoideae), 포아풀아과(Pooideae)]과 PACMAD분지군[기장아과(Panocoideae), 물대아과(Arundioideae), 나도바랭이아과(Chloridoideae), 미크라이라아과(Micrairoide..
2018.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