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사고Ⅱ안전교육(6)
-
2025 연구실 사고Ⅱ 안전교육 답
문제1 다음 중 사고 시 골절 발생 시 응급처치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 손상된 부위를 압박한다. 해설 손상된 부위를 압박하면 골절 부분의 손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압박은 옳지 않다. 문제2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개요와 피해상황을 소속기관의 보험처리 부서에 알리고, 이를 접수한 보험처리 부서는 그 상황을 지체 없이 연구기관에 통보해야 한다. 정답 X 해설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개요와 피해상황을 소속기관의 보험처리 부서에 알리고, 이를 접수한 보험처리 부서는 그 상황을 지체 없이 보험회사에 통보해야 한다. 문제3 다음 중 연구실사고발생 시 보험금 청구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 보험료청권은 3년간 행사하지 않으면 시효가 소멸된다. 해설 상법 제662조(소멸시효)에 따라 보험금청구권은 3년간,..
2025.01.09 -
2024 연구실사고Ⅱ 안전교육 답
문제1 다음 중 사고 시 골절 발생 시 응급처치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 손상된 부위를 압박한다. 해설 손상된 부위를 압박하면 골절 부분의 손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압박은 옳지 않다. 문제2 다음 중 연구실 사고발생 시 보험금 청구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 보험료청권은 3년간 행사하지 않으면 시효가 소멸된다. 해설 상법 제662조(소멸시효)에 따라 보험금청구권은 3년간, 보험료 또는 적립금의 변환청구권은 3년간, 보험료청구권은 2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의 완성으로 소멸한다 문제3 보상금 지급절차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정답 보험사는 사고접수 후 일괄적으로 서면 평가 후 보험금 지급 해설 사고발생으로 종사자가 피해를 입었을 때 보험금 지급절차를 보면 먼저 사고 규모를 파악하고..
2024.01.17 -
2023 연구실사고Ⅱ 안전교육 답
문제1 다음 중 응급상황별 대표적 상황으로 연결이 잘못된 것은? 정답 긴급:두드러기 해설 두드러기의 경우는 준응급 상황으로 볼 수 있으며, 긴급의 경우는 가장 응급한 상황으로 볼 수 있다. 문제2 절단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 방법으로 잘못 된 것은? 정답 절단된 부위를 물로 깨끗이 씻어준다 해설 외상 중 절단사고의 경우, 먼저 119에 연락하고 출혈을 막은 다음 쇼크가 생기지 않도록 관찰한다. 그리고 절단된 부위를 보호하고, 깨끗한 거즈로 싸서 비닐봉지와 방수용기에 절단된 부위를 넣고 차게 유지하면서 병원으로 이동한다. 문제3 보상금 지급절차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정답 보험사는 사고접수 후 일괄적으로 서면 평가 후 보험금 지급 해설 사고발생으로 종사자가 피해를 입었을 때 보험금 지급절차를 보면 먼..
2023.09.12 -
2021-2기 연구실사고Ⅱ 안전교육 답
문제1 액체화학물질에 의한 화학화상 발생 시 응급처치 방법 중 잘못 된 것은? 정답 피부에 묻은 화학물질을 솔을 이용하여 털어낸다. 해설 액체화학물질에 의한 화학화상 발생 시 1.많은 양의 물로 오랜시간 씻어낸다. 2.씻는 동안 오염된 옷과 장신구를 제거한다. 3.멸균된 거즈를 이용하여 덮는다. 4.병원치료를 받는다. 솔을 이용하여 털어내는 것은 고체화학물질 접촉 시 해당된다. 문제2 ’응급처치’란 예기치 않았던 때나 장소에서 일어난 외상이나 질병에 대해 긴급히 그 장소에서 행하는 전문적인 치료를 말한다 정답 X 해설 ’응급처치’란 응급의료 행위의 하나로서 실제적으로 예기치 않았던 때나 장소에서 일어난 외상이나 질병에 대해 긴급히 그 장소에서 행하는 간단한 치료행위를 말한다 문제3 응급처치 주의할 점을 ..
2021.07.21 -
2021-1기 연구실사고Ⅱ 안전교육 답
문제1 보함금 청구 시 제출서류와 그 세부내용이 잘못 것은? 정답 연구주체의 장의 사고경위서(사고자가 직접 작성해서 보험사 제출) 해설 보험(공제)회사 사고 상황접수에 필요한 서류는 청구서(보험계약사항, 사고자 인적 사항, 손해 정도), 연구주체의 장의 사고경위서(사고자가 작성한 내용을 기초로 연구실 책임자가 최종 확인한 후 연구주체의 장이 체출), 신분증, 사고증명서, 기타 보험금 수려애 필요한 서류(통장사본, 재학/재직증명서, 진료비영수증,퇴원진료비계산서), 등본, 가족관계증명서(사망)이다. 문제2 심폐소생술의 순서가 올바른 것은? 정답 가슴압박-기도유지-인공호흡 해설 과거에는 인공호흡을 먼저 진행하도록 한바 있으나, 심폐소생술의 순서에서 인공호흡 이전에 가슴압박을 먼저 하도록 권장한다(2011년 이..
2021.01.13 -
2020 연구실사고Ⅱ 안전교육 답
1. 심폐소생술 방법과 순서가 올바른 것은? [선택형] (점수 : 10.0) o 1. 심정지 확인-가슴 압박 30회-기도 확보-인공호흡 2회-119신고 o 2. 심정지 확인-119신고-기도 확보-인공호흡 2회-가슴 압박 30회 o 3. 심정지 확인-119신고-가슴 압박 30회-기도 확보-인공호흡 2회 o 4. 심정지 확인기도 확보-인공호흡 2회-가슴 압박 30회-119신고- 정답 3 2. 액체화학물질에 의한 화학화상 발생 시 응급처치 방법 중 잘못 된 것은? [선택형] (점수 : 10.0) o 1. 많은 양의 물로 오랜시간 씻어낸다 o 2. 피부에 묻은 화학물질을 솔을 이용하여 털어낸다. o 3. 물로 씻는 동안 오염된 옷과 장신구를 제거한다. o 4. 물로 씻은 후 멸균된 거즈를 이용하여 덮는다. 정답..
2020.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