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25. 10:08ㆍ과학/안전교육
문제1 방사성물질을 엎질렀을 경우 가장 먼저, 큰 소리로 주변인에게 알려야 한다. 그 이유로 옳은 것은? (98.0% 정답률)
정답 오염 확대가 되지 않기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주변인에게 알려야 한다.
해설 방사성물질을 엎질렀을 경우, 큰 소리로 주변인에게 알려 오염확대가 되지 않기 위한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되는 조치이다.
문제2 레이저 안전을 위해 연구실에서 준비해야할 항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64.0% 정답률)
정답 가시광선에 의한 피해방지
해설 레이저 안전을 위해 연구실에서 준비해야 할 항목에는 직접광선에 의한 피해방지 및 간접광선에 의한 피해방지 그리고 기타(가스 및 전기 화재안전 등) 사항이 있다.
문제3 다음 중 방사선 사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59.0% 정답률)
정답 선원의 격납 사고
해설 방사선사고라 함은 '방사선피폭 사고, 방사능오염 사고, 선원의 누설 및 이탈사고, 차량 또는 시설의 화재사고, 방사성물질의 도난·분실사고'를 총칭한다.
문제4 다음 중 레이저 광선의 위험성 관리 방법으로 옳은 것은? (92.0% 정답률)
정답 레이저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레이저 종류, 파장, 출력에 따라 각기 다른 적합한 보안경을 착용하여야 한다.
해설 레이저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레이저 종류, 파장, 출력에 따라 각기 다른 적합한 보안경을 착용하여야 한다.
문제5 다음 중 안전등급 분류에 대한 설명과 맞지 않는 것은? (54.0% 정답률)
정답 등급 2M은 레이저 빔에 눈이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피해야한다.
해설 등급 2에서는 레이저 빔을 직시하지 말아야 하며, 등급 3R은 레이저 빔에 눈이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피해야한다.
문제6 레이저는 다양한 분야의 과학에서 사용되고 있다. 다음 중 과학 분야와 설명 연결이 잘못된 것은? (69.0% 정답률)
정답 물리학에서는 다양한 분자를 분할하는데 사용된다.
해설 정확하게 정해지는 단색의 파장 때문에 분광학 분야에 주로 사용되며, 군사적으로 레이저는 공격 대상을 식별하거나 미사일 등의 무기를 유도하는데 사용된다. 의학에서는 안과 수술, 미용 목적의 수술 등에 사용된다.
문제7 다음 중 공칭위험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1.0% 정답률)
정답 레이저 방출 시 직간접적인 방법, 즉 반사 또는 산란된 광선에 노출될 때 레이저 출력의 최댓값이 MPE를 넘어서는 지역을 의미한다.
해설 공칭위험지역은 Nominal Hazard Zone이며 약자로 NHZ라고 부른다. 레이저 방출 시 직간접적인 방법, 즉 반사 또는 산란된 광선에 노출될 때 레이저 출력의 최대값이 MPE를 넘어서는 지역을 의미한다.
문제8 자외선 및 중적외선 경우 각막흡수, 가시광의 경우 망막, 근적외선의 경우 망막 및 시신경에 흡수된다. (94.0% 정답률)
정답 O
해설 자외선 및 중적외선 경우 각막흡수, 가시광의 경우 망막, 근적외선의 경우 망막 및 시신경에 흡수된다.
문제9 다음은 방사성동위원소의 안전한 작업절차이다. 다음 중 작업절차의 순서로 옳은 것은? (67.0% 정답률)
정답 법적이행사항-방사선관리구역 출입절차·방사성동위원소 취급 절차실험종료 후 절차 - 퇴실 전 절차
해설 방사성동위원소의 안전한 작업절차는 1단계, 방사선작업에 들어가기 전 법적 이행사항, 2단계,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방사선관리구역을 출입하기 위한 절차, 3단계,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을 위한 절차, 4단계, 실험 종료 후 절차 마지막 5단계, 퇴실 전 절차 순으로 이루어진다.
문제10 다음은 미국의 레이저 안전 보건 국제 규격에 대한 등급별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53.0% 정답률)
정답 등급 4는 직간접으로 반사되어 눈에 손상을 줄 수 있는 가시광, 비가시광 비레이저이다.
해설 등급 4는 직간접적인 레이저 빔 입사는 매우 위험, 눈 또는 피부손상, 화재 위험이 있다.
'과학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소방 안전교육 답 (0) | 2025.02.25 |
---|---|
2025 보건·환경 안전교육 답 (0) | 2025.02.25 |
2025 가스 안전교육 답 (0) | 2025.02.25 |
2025 기계 안전교육 답 (0) | 2025.02.25 |
2025 전기 안전교육 답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