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보건·환경 안전교육 답

2025. 2. 25. 10:09과학/안전교육

728x90
반응형

문제1 다음 중 연구활동종사자의 건강검진의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68.0% 정답률)
정답 질환으로 인한 집단 영향의 최대화
해설 건강검진을 통해 현재 건강상 상태를 파악하여 건강관리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특정 연구나 업무에 적합한 신체상태 파악하여 적절하게 배치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 질환 및 직업성 질환의 조기 발견이나 집단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장해요인 발견하여 조치를 취하기 위해 실시한다.

문제2 유해인자 취급 연구활동 종사자는 특수건강검진을 받게 된다. 해당하지 않은 활동 분야는? (57.0% 정답률)
정답 생리적 인자
해설 특수건강검진은 유해인자 취급 연구활동종사자로 화학적 인자(163종), 분진(7종), 물리적 인자(8종), 야간연구개발활동(2종)과 관련된 연구활동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다.

문제3 다음은 유해위험성에 관련된 설명이다. 각 위험성에 내용과 맞지 않는 것은? (56.0% 정답률)
정답 환경 유해성 : 수생환경 유해성 물질, 흡인 유해성 물질 등
해설 유해·위험성과 관련하여 물리적 위험성, 건강 위험성, 환경 유해성으로 구분하며, 흡인 유해성 물질은 건강 유해성에 해당한다.

문제4 다음 중 유해인자관리 방안 중 공학적 대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1.0% 정답률)
정답 공학적 대책에는 대치, 밀폐, 격리, 환기의 방법이 있다.
해설 공학적 대책에는 연구환경 내의 유해인자를 유해성이 없거나 낮은 것으로 바꿈으로서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대치, 유해인자의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밀폐, 유해인자로부터 연구자의 노출을 차단하는 격리, 연구환경 내 유해물질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환기의 방법이 있다.

문제5 물질안전보건자료는 미국 노동성 산하 산업보건청이 1983년에 약 100여 종의 화학물질이 작업장에서 일하는 작업자에게 위해하다고 여겨 물질의 위해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55.0% 정답률)
정답 X
해설 물질안전보건자료는 미국 노동성 산하 산업보건청이 1983년에 약 600여 종의 화학물질이 작업장에서 일하는 작업자에게 위해하다고 여겨 물질의 위해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문제6 다음 중 유해위섬헝 NFPA 704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76.0% 정답률)
정답 각 사고요인별로 0~6까지의 단계별 위험도를 표시하고 있다.
해설 NFPA 704 시스템은 각 사고요인별 0~4단계까지 단계별로 위험도를 표시하고 있다.

문제7 다음 중 인간공학적 인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93.0% 정답률)
정답 초전도
해설 인간공학적 인자에는 작업 자세, 작업 조건, 중량물 취급 방법, 작업 시간 및 강도 등이 있다.

문제8 다음은 화학물질 독성에 대한 설명이다. 독성 설명이 잘못 연결된 것은? (84.0% 정답률)
정답 국부독성은 독성이 체내 흡수되어 전신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해설 국부독성은 피부 접촉 시 발진과 같은 증상이 독성물질 노출 부위에 한정된 경우를 말한다.

문제9 다음 중 노출 농도가 시간가중평균값을 초과하고 단시간 노출값 이하인 경우로 볼 수 없는 것은? (51.0% 정답률)
정답 노출허용기준인 60분을 초과하면 안 된다.
해설 노출 농도가 시간가중평균값을 초과하고 단시간 노출값 이하인 경우는 1회 노출 지속시간이 15분 미만이며, 1일 4회 이하의 발생 및 각 회의 간격은 60분 이상이어야 한다.

문제10 다음 중 주요 유해인자별 건강 질환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89.0% 정답률)
정답 메틸알콜-이따이이따이 병, 신장장해
해설 카드뮴은 이따이이따이 병과 신장장해를 입을 수 있으며, 메틸알콜은 중추신경계 손상, 시신경 손상등의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728x90
반응형

'과학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사전유해인자교육 안전교육 답  (0) 2025.02.25
2025 소방 안전교육 답  (0) 2025.02.25
2025 방사선·레이저 안전교육 답  (0) 2025.02.25
2025 가스 안전교육 답  (0) 2025.02.25
2025 기계 안전교육 답  (0)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