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 19. 16:22ㆍ과학/안전교육
1. 접지공사 종류별 접지저항 값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제 1종 접지공사 - 100 Ω
2) 제 2종 접지공사 - 10 Ω
3) 제 3종 접지공사 - 100 Ω
4) 특별 제 3종 접지공사 - 100 Ω
정답 3번
해설 제1종 접지공사와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저항값은 10Ω이며, 제 2종 접지공사의 경우 변압기 고압측 또는 특고압측 전로의 1선 지락전류 암페어 수로 150을 나눈 값을 접지저항값으로 한다.
2. 로봇의 방호장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격리형 방호장치
2) 자재 고정장치
3) 감응식 방호장치
4) 비상정지장치
정답 2번
해설 산업용 로봇의 방호장치로는 격리형 방호장치, 감응식 방호장치, 그리고 비상정지장치가 있다.
3. 전기기계·기구 및 각종 구조물의 접지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탱크 - 대각으로 2개소 이상 접지하되 탱크 저장용량에 따라 접지개소 수 증가
2) 파이프 랙의 철제 지지물 - 일정간격으로 접지모선과 연결하여 접지
3) 철구조물 - 기둥 접지선의 접속점은 바닥에서 최소 30cm 높이로 시설
4) 건축물 밖 금속배관 - 50m마다 접지하고 정전기적으로 절연된 배관 접속부는 본딩 실시
정답 4번
해설 건축물 밖에 노출된 금속배관은 30m 이내마다 접지하고, 정전기적으로 절연된 배관의 접속부분은 본딩을 실시한다.
4. 다음 중 보호용 접지의 종류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정전기축적에 의한 장애방지용 접지
2) 낙뢰로 인한 재해 및 장애방지용 접지
3) 노이즈에 의한 기기오동작 방지 접지
4) 고·저압 혼촉에 의한 감전예방용 접지
정답 3번
해설 보호용 접지는 사람의 감전재해예방을 주목적으로 하는 접지를 말하며, 노이즈에 의한 기기 오동작 방지용 접지는 기능용접지에 해당한다.
5. 고통한계전류에서 통제전류 값이 더욱 증가하면서 신체 근육 경련이 심해지고, 신경이 마비되는 증상이 나타나는 때의 한계값을 가리키는 용어는?
1) 최소감지전류
2) 이탈전류
3) 불수전류
4) 심실세동전류
정답 2번
해설 고통한계전류에서 통전전류 값이 더욱 증가하면 신체 근육 경련이 심해지고 신경이 마비되어 운동이 자유롭지 않게 되는데, 이 때의 한계 값을 최대 한도 전류 또는 이탈전류라 하며 교류(60Hz)에서 약 10~15mA이다.
6. 다음 중 접지전극의 시설기준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매설장소는 접지대상물에서 가까운 장소로 부식우려가 없는 곳이어야 한다.
2) 편리한 접지저항 측정을 위해 접지전극 외 보조접지전극을 설치한다.
3) 접지전극 시설 후 관리를 위해 접지전극의 위치를 표시해둔다.
4) 접지전극은 50cm이상으로 하고 빙결층을 초과하지 않는 깊이로 설치한다.
정답 4번
해설 접지전극의 매설 깊이는 75cm 이상으로 빙결층을 초과하는 깊이에 설치하여야 한다.
7. 다음 중 접지선의 시설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접지선은 지하 75cm 이상의 깊이로 깊숙이 매설한다.
2) 접지극을 지중에서 금속체로부터 1m 이상 떼어서 매설한다.
3) 접지선과 접지전극의 접속부가 부식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지상에 있는 접지선에 한하여 2m까지 합성수지관으로 덮어야 한다.
정답 4번
해설 지표상 2m 뿐만 아니라 지표면 기준 지하 75cm까지도 합성수지관 또는 동등이상의 몰드로 덮어야 한다.
8. 로봇에서 발생하는 재해의 유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협동로봇에 의한 충돌
2) 로봇의 팔과 손에 의한 끼임
3) 로봇의 부품 고장
4) 로봇 구동력의 제어불능
정답 1번
해설 로봇으로 인한 재해의 유형은 크게 정상적인 작동 시 로봇의 팔과 손에 의한 부딪힘 또는 끼임, 로봇의 부품 및 부속장치의 고장, 로봇 구동력의 제어불능 등으로 구분된다.
9. 감전의 위험성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감전에 따른 위험은 통상적으로 교류보다 직류가 위험하다.
2) 고주파수에서 감전 발생 시, 저주파수에서 발생할 때보다 위험도가 높다.
3) 젖은 손은 건조한상태일 때 보다 인체저항 값이 낮아 감전의 위험이 더 크다.
4) 오른손-가슴으로 감전 될 경우 왼손-가슴일 때보다 위험하다.
정답 3번
해설 1. 통상적으로 감전은 직류보다 교류가 위험하다. 2. 감전 시 주파수는 고주파수보다 인간의 심장맥동주기 (80Hz)와 비슷한 저주파수가 더 위험하다. 3. 심장에 가까운 왼손-가슴 통전 시 위험도가 오른손-가슴일 때보다 높다.
10. 접지전극과 접지선의 접지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부식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2) 전기적·기계적으로 확실하게 접속하여 시설한다.
3) 접지선에는 과전류차단기를 함께 설치한다.
4) 연결부분은 도장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정답 3번
해설 접지선에는 퓨즈 등의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하지 않아야 한다.
11. 공장 자동화 시 기계에 대한 고려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급정지장치는 손이 쉽게 미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한다.
2) 조작장치는 물체에 부딪히더라도 불의에 가동되지 않는 구조로 한다.
3) 기계의 표면에 날카로운 각 등이 없도록 한다.
4) 제어장치는 풀 프루프(Fool proof) 구조로 한다.
정답 4번
해설 제어장치는 풀 프루프(Fool proof) 구조가 아닌 페일 세이프(Fail Safe) 구조로 한다.
12. 기계설비의 위험점과 설명에 대해 올바르게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1) 협착점 : 왕복운동을 하는 운동부와 움직임이 없는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위험점
2) 회전말림점 : 회전하는 물체에 작업복 등이 말려드는 위험이 존재하는 위험점
3) 절단점 : 기계에서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을 하는 절삭날 등 돌출부위에 형성되는 위험점
4) 끼임점 : 회전하는 부분의 접선 방향으로 물려 들어갈 위험이 있는 곳
정답 4번
해설 보기 4의 설명은 회전말림점에 대한 설명이다. 끼임점은 고정 부분과 회전 또는 직선운동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위험점으로 연삭숫돌과 공구지지대 사이 등에서 나타난다.
13. 설비 및 전자기기의 안정적인 작동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접지는 무엇인가?
1) 계통접지
2) 기능용 접지
3) 뇌해방지용 접지
4) 등전위 접지
정답 2번
해설 설비 및 전자기기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실시하는 접지를 기능용 접지라 하며, 계통접지, 뇌해방지용접지, 등전위접지는 보호용 접지의 종류로 사람과 전기설비 간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접지방식이다.
14. 다음 중 작업 중 점검내용이 아닌 것은?
1) 기계장치의 금형 및 볼트 고정상태
2) 기계장치의 안전장치 부착상태
3) 전기설비의 스위치 및 배선상태
4) 작업구역 출입통제 상태
정답 1번
해설 기계장치의 금형 및 볼트의 고정상태는 작업 전 점검항목이다.
15. 산업용 로봇 안전검사는 최초검사 실시 후 몇년주기로 검사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 2번
해설 산업용 로봇의 의한 재해가 증가함에 따라 2016년 10월 28일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되어 산업용 로봇이 안전검사대상에 편입되었는데요. 때문에 산업용 로봇은 설치일로부터 3년 이내에 최초검사를 실시하고, 그 이후 2년 주기로 검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16. 기계의 기능상 안전에 관한 설명 중, 사람이 실수를 범해도 사고나 재해로 발전하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를 가진 용어는?
1) 풀 프루프(Fool Proof)
2) 페일 세이프(Fail Safe)
3) 풀 세이프(Fool Safe)
4) 페일 프루프(Fail Proof)
정답 1번
해설 풀 프루프(Fool Proof) - 사람이 실수를 범하여도 사고나 재해로 발전하지 않게 해야 한다는 것 페일 세이프(Fail Safe) - 시스템에 고장이 생겨도 어느 기간 동안은 정상 기능이 유지되어 사고나 재해까지 발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
17. 누전차단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누전차단기는 기계 기구에 내장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배전반 또는 분전반에 설치한다.
2) 전기 회로에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면 기계·설비를 접지하지 않아도 된다.
3) 누전차단기와 케이블 사이 접속이 확실하지 않으면 접속부위에 화재가 발생 할 수 있다.
4) 누전차단기 동작 후에는 절연저항계를 이용하여 이상유무 확인 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정답 2번
해설 누전차단기의 오동작에 의한 재해예방을 위하여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더라도 기계·설비는 접지를 실시하여야 한다.
18. 광선 등에 의한 감응 시 로봇을 정지하는 방호장치는?
1) 광전자식 방호장치
2) 인터록 스위치
3) 압력 감응식 안전 매트
4) 안전플러그
정답 1번
해설 문제는 감응식 방호장치의 하나인 광전자식 방호장치에 대한 설명이다. 인터록 스위치와 안전플로그는 격리형 방호장치이다.
19.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전의 유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감전은 전류가 흐르는 전선 또는 설비 등에 인체가 직접 접촉할 때에만 발생한다.
2) 피복이 벗겨진 전선을 완벽하게 절연하지 못할 경우 인체 접촉 시 감전이 발생한다.
3) 낙뢰 발생 시 수도관 등 금속관을 타고 들어온 전압에 노출되어 감전이 발생할 수 있다.
4) 습기가 많은 장소는 건조한 장소보다 감전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정답 1번
해설 누전 등 간접접촉에 의한 감전재해 및 고전압 전로 주변 등에서 발생하는 정전유도작용에 의한 비접촉 감전재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20. 안전인증을 취득하도록 강제된 제품이 아님에도 제조사의 제품에 스스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는?
1) 임의 안전인증제도
2) 자율검사 프로그램
3) 안전검사
4) 자율안전 확인신고
정답 1번
해설 임의 안전인증제도란, 안전인증을 취득하도록 강제된 제품이 아님에도 제조사의 제품에 스스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이다.
'과학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안전관리 기본 안전교육 답 (0) | 2023.03.16 |
---|---|
2022년 (공공기관) 산업안전Ⅱ : 숲가꾸기 작업안전 답 (0) | 2022.10.19 |
2022 안전의식 안전교육 답 (0) | 2022.09.28 |
2022 안전관리 실무Ⅱ 안전교육 답 (0) | 2022.09.28 |
2022 안전관리 실무Ⅰ 안전교육 답 (0) | 2022.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