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6)
-
2025 보건·환경 안전교육 답
문제1 다음 중 연구활동종사자의 건강검진의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68.0% 정답률) 정답 질환으로 인한 집단 영향의 최대화 해설 건강검진을 통해 현재 건강상 상태를 파악하여 건강관리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특정 연구나 업무에 적합한 신체상태 파악하여 적절하게 배치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 질환 및 직업성 질환의 조기 발견이나 집단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장해요인 발견하여 조치를 취하기 위해 실시한다. 문제2 유해인자 취급 연구활동 종사자는 특수건강검진을 받게 된다. 해당하지 않은 활동 분야는? (57.0% 정답률) 정답 생리적 인자 해설 특수건강검진은 유해인자 취급 연구활동종사자로 화학적 인자(163종), 분진(7종), 물리적 인자(8종), 야간연구개발활동(2종)과 관련된 연구활동 종사..
2025.02.25 -
2024 보건·환경 안전교육 답
문제1 다음 중 유해인자관리 방안 중 공학적 대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 공학적 대책에는 대치, 밀폐, 격리, 환기의 방법이 있다. 해설 공학적 대책에는 연구환경 내의 유해인자를 유해성이 없거나 낮은 것으로 바꿈으로서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대치, 유해인자의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밀폐, 유해인자로부터 연구자의 노출을 차단하는 격리, 연구환경 내 유해물질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환기의 방법이 있다. 문제2 다음 중 연구실 건강 유해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정답 역학적 인자 해설 연구실 건강유해요인은 크게 화학적 인자, 물리적 인자, 생물학적 인자, 인간공학적 인자, 정신사회적 인자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문제3 물질안전보건자료는 미국 노동성 산하 산업보건청이 1983년에 약 100여 종의 화학..
2024.03.19 -
2023 보건·환경 안전교육 답
문제1 다음 중 노출 농도가 시간가중평균값을 초과하고 단시간 노출값 이하인 경우로 볼 수 없는 것은? 정답 노출허용 기준인 60분을 초과하면 안 된다. 해설 노출 농도가 시간가증평균값을 초과하고 단시간 노출값 이하인 경우는 1회 노출 지속시간이 15분 미만이며, 1일 4회 이하의 발생 및 각 회의 간격은 60분 이상이어야 한다. 문제2 다음 중인간공학적 인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정답 초전도 해설 인간공학적 인자에는 작업 자세, 작업 조건, 중량물 취급 방법, 작업 시간 및 강도등이 있다. 문제3 연구활동 종사자의 연구 방법이나 조건 등을 변경하여 노출을 감소시키는 관리적 대책이 있다. 다음 중 관리적 대책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정답 연구개발활동 시 발생하는 건강상의 문제는 개인의 책임이므로 연구활동..
2023.05.17 -
2021-2기 보건·환경 안전교육 답
문제1 다음 중 유해인자 관리 방안의 관리적 대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정답 실내공간 전반에 대한 전체 환기 해설 실내공간 전반에 걸쳐 공기를 순환하는 전체 환기 방법은 유해인자 관리 방안의 공학적 대책이다 문제2 화학물질의 독성 중 세포 또는 장기에 손상을 주고 일정 시간 경과 후 회복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정답 가역적 독성 해설 가역적 독성(Reversible toxic effect)은 세포 또는 장기에 손상을 주고 일정 시간 경과 후 회복되는 것이다 문제3 다음 NFPA704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 적색 : 위험성 해설 적색은 인화성을 나타낸다. 문제4 다음에 제시된 보기들 중 건강한 연구환경 만들기의 측면에서 올바르지 않은 개념은? 정답 유해인자의 노줄허용기준은 가장..
2021.08.11 -
2021-1기 보건·환경 안전교육 답
문제1 다음 NFPA704 시스템 중 청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 장시간 노출 치명적 위험 해설 단시간 노출 치명적 위험이다. 문제2 다음에 제시된 보기들 중 건강한 연구환경 만들기의 측면에서 올바르지 않은 개념은? 정답 유해인자의 노출허용기준은 가장 합리적인 것이므로 기준치보다 낮은 농도의 유해인자는 건강영향을 야기하지 않는다. 해설 측정된 수준이 노출허용기준보다 낮다고 하여 연구활동종사자에게 건강상의 부정적인 영향이 일어나지 않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문제3 다음은 연구활동종사자 건강검진의 목적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정답 특수 질환 및 직업성 질환의 조기 발견 및 조치를 위함이다. 해설 일반 질환 및 직업성 질환의 조기 발견 및 조치를 위함이다. 문제4 다음 ( )에 들어갈 ..
2021.01.18 -
2020 보건・환경 안전교육 답
1. 다음은 연구실의 건강유해요인 중 정신사회적 인자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선택형] (점수 : 10.0) o 1. 대부분의 시간을 연구실에서 보내면서 연구실 내의 위험요인에 둔감해지는 경우가 많다. o 2. 연구에 따른 집단적 스트레스는 적으나 개인적 스트레스와 바쁜 연구 일정이 원인이 된다. o 3. 조직 내 갈등, 과도한 업무, 동기부여 부족, 부적절한 보상체계가 원인이 된다. o 4. 우울증, 수면장애, 알코올 섭취로 인한 뇌심혈관계 질환 증가, 생체리듬 부조화 등의 영향을 미친다. 정답 2 2. 다음은 작업환경평가에서 작업적 노출관리의 절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선택형] (점수 : 10.0) o 1. 기초조사 o 2. 위해성 판단 및 우선순위 결정 o 3. 위험의 회피 o 4...
2020.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