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chypodium(2)
-
Brachypodium distachyon의 우리나라 이름
2010년 이후로 단자엽식물(특히 벼과)에서 모델 식물로 널리 연구에 이용되고 있는 Brachypodium distachyon. 자세한 건 다음을 참고하면 좋다. https://ongchip.tistory.com/5 단자엽식물의 모델식물 "Brachypodium distachyon"식물을 연구함에 있어서 생장주기가 길면 여러 모로 연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Genome의 크기가 크면 유전자 연구를 하기도 힘들다.현재 애기장대(Arabidopsis)는 모델식물로 많이 이용되ongchip.tistory.com위의 글에도 언급되었지만, B. distachyon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이 아니라서 우리나라 이름(국명)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국내 연구원들이 모델 식물로 흔히 사용되는 애기장대(A..
2024.05.21 -
단자엽식물의 모델식물 "Brachypodium distachyon"
식물을 연구함에 있어서 생장주기가 길면 여러 모로 연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Genome의 크기가 크면 유전자 연구를 하기도 힘들다.현재 애기장대(Arabidopsis)는 모델식물로 많이 이용되어 식물을 연구하는 생명과학자들에 의해 많은 연구가 되었다. 하지만 애기장대는 쌍자엽식물로 실제 우리가 먹는 식량 작물인 벼, 밀, 옥수수 등과 같은 단자엽식물과는 거리가 있다.그래서 벼, 밀, 옥수수 등과 같은 단자엽 식물을 연구하는 사람들을 위한 모델식물인 "Brachypodium distachyon"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Brachypodium distachyon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식물은 아니지만 비슷한 식물로 숲개밀(Brachypodium sylvaticum)이라는 식물은 우리나라에서도 ..
2018.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