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8)
-
Brachypodium distachyon의 우리나라 이름
2010년 이후로 단자엽식물(특히 벼과)에서 모델 식물로 널리 연구에 이용되고 있는 Brachypodium distachyon. 자세한 건 다음을 참고하면 좋다. https://ongchip.tistory.com/5 단자엽식물의 모델식물 "Brachypodium distachyon"식물을 연구함에 있어서 생장주기가 길면 여러 모로 연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Genome의 크기가 크면 유전자 연구를 하기도 힘들다.현재 애기장대(Arabidopsis)는 모델식물로 많이 이용되ongchip.tistory.com위의 글에도 언급되었지만, B. distachyon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이 아니라서 우리나라 이름(국명)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국내 연구원들이 모델 식물로 흔히 사용되는 애기장대(A..
2024.05.21 -
식물 유전체와 전사체 자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들
식물(특히 임목과 같은 나무) 유전체와 전사체 자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들이다. 일반 농작물과 달리 임목의 경우 연구가 더디기 때문에 아직 축적된 정보의 양이 적다. 시간이 흐르면서 데이터베이스의 숫자도 더 늘어나고,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쌓이는 정보량도 많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1. Plaza http://bioinformatics.psb.ugent.be/plaza/ Home The new default instance to focus on eukaryotic micro-organisms. A wide selection of species was selected, from multiple branches of the tree of life including green algae, brown algae, ..
2022.09.17 -
2018/04/17 영국 런던에서...
큐 왕립 식물원(Royal Botanic Gardens, Kew) 줄여서 큐 가든(Kew Gardens)에서...
2022.07.23 -
또 전문연구원에 떨어졌다.
지난주 금요일인 9월 10일. 원래 국립수목원 서류합격자 발표였으나, 추가모집 재공고가 났다. 원래 9일에 서류마감이고 10일에 서류합격자 발표, 14일에 면접 후, 15일에 최종합격자 발표였으나, 재공고로 인해 서류마감이 14일까지로 연장되고, 15일에 서류합격자 발표, 16일에 면접 후, 17일에 최종합격자 발표로 변경되었다. 그래서 다음날인 11일에 바로 다시 지원서를 보냈다. 또한, 재공고로 인해 이전에 지원했던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이 13일에 서류합격자 발표 후, 14일~15일 중에 하루로 면접이 예정되어 있었는데, 14일 같은 날에 면접이 잡혀서 둘 중 하나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은 피할 수 있게 되었다. 13일 월요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서류합격자 발표 마지막 날이었다. 운전 중에 시계가 울려서 ..
2021.09.17 -
농·임업의 반도체 ‘야생식물 종자’ 보존 및 활용 확산방안 토론회 참석 후기
지난 22일 금요일. 학교에 갔더니 지도교수님께서 국회에서 행사가 있으셔서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나가실 것이라고 하셨다. 처음 그것을 들었을 때는 무슨 행사인지보다는 그냥 교수님이 자리를 비우시는 것이 더 큰 의미로 다가왔다. 게다가 전날 심장 시술받으신 친할아버지 간병으로 병원에서 자고 와서 몸도 피곤했었는데 마침 잘 되었다고 생각했다. 단지, 오전에 교수님이 행사에 가지고 가실 적당한 가방을 찾는다고 실험실을 기웃거리신 것을 제외하면... 그리고 11시쯤, 점심시간이 되기 전에 교수님은 떠나셨다.그리고 점심시간이 되어 다른 실험실 사람들은 점심을 먹으러 간 사이에, 실험실 단톡방에 교수님이 왠 사진을 하나 올리셨다. 행사포스터 아마 참석하는 행사의 포스터인 것 같았다. 그리고 다른 형들이 교수님이 ..
2019.02.26 -
식물 기준 생물 분류 단위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10여년 전에 내가 고등학교에서 배울 땐, 생물 분류를 생물2에서 처음 다루었다. 그 때는 "종-속-과-목-강-문-계"로 외웠었다. 앞으로 갈 수록 작은 분류단위이고, 뒤로 갈 수록 큰 단위이다. 하지만 대학에 들어오고, 일반생물학을 배우면서 계(界, Kingdom)보다 상위에 "역(域, Domain)"이 존재한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그리고 몇년 전, 대학원에 들어와서 공부하면서, 과-속 사이에 "족(族, Tribe)"가 존재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며칠 전에 보리에 대해 알아보다가 속-종 사이에 Section과 Series라는 단위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하나도 아니고 둘이라니... 사실, 속은 정말 가까운 종들의 그룹으로 생각했는데, 그 녀석들을 더 쪼갤 수 있다는 ..
2018.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