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77)
-
유승민 의원이 신설합당과 불출마를 선언했다
지난주 일요일에 이어 오늘도 자고 일어났더니 빅뉴스가 네이버 메인에 걸려있었다. 바로 유승민 의원의 불출마 소식이었다. https://youtu.be/F4LxIQO02DQ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5&aid=0001286190 [전문]유승민 “총선 불출마하겠다…한국당과 합당 추진” 새로운보수당의 최대 주주 격인 유승민 의원이 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보수 재건을 위한 저의 결심을 밝히고자 한다”며 “새보수당과 자유한국당 간의 신설 합당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유 의원은 총선 불출마를 news.naver.com 어제밤 자기전에 TV조선에서 나온 "탈당은 형님이 하셔야죠?"라는 기사(https://ne..
2020.02.09 -
황교안이 결국 종로 출마를 하는 모양이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험지 출마 선언한지 5주가 되었지만 종로로 지역구를 굳힌 이낙연 전국무총리에 비해 종로 출마를 피하는 모습을 그동안 보여줬다. 둘 다 차기 대권주자로 거론되고 있고 서울 종로구가 대한민국 정치 1번지로 상징성이 큰 곳이라서 오래 전부터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황교안 대표는 정치초보답게 정면승부를 피하는 느낌을 보였고, 그렇게 시간이 지났다. 시간이 흘러 얼마전에는 무소속 이정현 전 새누리당 대표가 출마선언을 했다. 엊그제는 새로운보수당 권성주 대변인이 유승민 의원의 종로출마를 요구하는 글도 올라왔다. 사실 유심초에서 유승민 의원의 종로 출마를 권하는 글들이 주기적으로 올라왔는데, 현재 종로구민인 적극 공감했다. 새로운보수당에서는 종로에 정문헌 전의원이 예비후보 등록을 했고, 유승..
2020.02.08 -
안철수 신당에서 발기인으로 참여해달라는 전화가 왔다
조금 전, 안철수 신당의 어디 지역위원장이라는 분이 전화를 해서 발기인으로 참여해달라는 말을 했다. 나는 새로운보수당 당원이라서 참여하기 힘들 것 같다고 답했다. 그랬더니 알겠다고 했다. 사람이 별로 없나? 아니면 내가 바른미래당일 때, 일부 행사에 참여해서 그럴까?
2020.02.07 -
다음 뉴스 너무하네
15년 전에 인터넷 신문으로 정치 기사를 읽고 댓글로 여론을 처음 보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싸이월드가 유행하며, 네이트와 연동되었기에 네이트를 이용했다. 그 당시는 노무현정권 말에 이게 다 노무현 때문이다가 유행어였던 시절. 이후 대학에 들어오고 나서 네이버와 다음이 각각 우파와 좌파들이 많이 모이는 것에 비해 네이트는 약간 좌파경향이 있었으나 그래도 네이트온 메신저때문에 계속 네이트를 이용했다. 그 뒤 박근혜 정부가 들어설 쯤, 더 이상 네이트온을 쓰지 않게 되어 네이버로 넘어갔다. 네이버에는 박근혜 정부의 실정에도 무조건적인 쉴드나 그나마 덜 했다. 아주 없는 것은 아니었지만. 어쨌든 박근혜 정부가 몰락하고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고 나서 네이버는 문재인 정부 비판하는 우파로 돌아왔다. 작년 조국사태가 ..
2020.02.05 -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오늘 이사하는 모양이다
지난 1월 중순. 다음과 같은 기사를 보았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5&aid=0002967569 교남동 경희궁자이 가는 이낙연 "종로구 맞냐" 수차례 확인 종로 출마를 공식화한 이낙연 국무총리가 최근 서울 종로구 교남동에 새 주거지를 마련했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총리는 지난 주말 대리인을 보내 교남동에 있는 경희궁자이 아파트 30평대에 전세계약을 체결했다. 이 news.naver.com 이낙연 전 국무총리는 문재인 정부 첫 국무총리로 지금까지 차기 대선 지지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런 그가 올해 4월15일 총선에서 서울 종로에서 출마하기 위해 경희궁자이로 전세 들어온다는 기사가 나온 것이다..
2020.02.02 -
녹색순환버스 탑승 후기
지금 서울의 버스는 빨강, 파랑, 초록, 노랑의 4가지 색상으로 운영된다. 물론 공항리무진버스나 예외도 있지만 이런 시스템이 생긴것도 거의 20년이 되었다. 각 색상별로 등급이 다른데, 빨강은 광역, 파랑은 간선, 초록은 지선, 노랑은 순환이다. 원래 지하철을 자주 이용했으나, 대학 입학 후 버스는 앉아서 등하교를 할 수 있는 경우가 지하철에 비해 많았고, 스마트폰 보급과 지하철요금이 버스보다 50원 더 비싸지면서 지금은 정말 피치 못 할 경우가 아니면 거의 버스만 타게 되었다. 어쨌든 서울 시내에서 다닐 때는 숫자 3자리의 파랑색 아니면 4자리의 초록색을 가장 많이 탄다. 광역버스의 경우 지나다니는건 많이 봤지만 탈 일은 거의 없었다. 노란색의 순환버스는 남산 근처 등 거의 일부 구간에만 존재했다. 숫..
2020.01.31